
팔꿈치에는 상과라는 부위가 있습니다. 뼈에 붙어 있는 힘줄로, 팔의 굽힘과 폄을 담당하는 곳입니다. 팔을 과도하게 사용하며 팔에 지나친 힘을 주게 되면 상과 부위가 손상돼 염증이 발생하는데 이를 상과염이라고 합니다. 골프와 테니스는 팔꿈치를 사용하는 운동입니다. 그만큼 힘줄 손상이 되기 쉬운 운동으로, 상과염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그래서 많이 하는 분들에게 발생하는 골프엘보를 내측 상과염, 테니스를 많이 하는 분들이 경험하는 테니스엘보를 외측 상과염이라고 합니다. 골프엘보, 테니스엘보는 운동을 하는 경우뿐 아니라 일상 속에서 팔꿈치에 반복적으로 충격을 가하게 되면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엘보 질환의 대표적인 증상은 팔꿈치 통증입니다. 팔꿈치 부위가 저리고 살짝 묵직한 듯한 통증이 동반..

장시간 컴퓨터로 업무와 공부를 하거나, 스마트폰을 보는 구부린 자세로 척추와 경추 불균형이 발생합니다. 이는 경추와 척추에 부담을 주게 되고 결국 통증을 유발합니다. 일시적인 통증이라면 휴식을 취하거나 찜질을 하면 나아지기도 심해지면 디스크나 협착증 등의 척추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허리디스크는 요추 사이의 추간판이 돌출되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외상이나 잘못된 자세 등으로 인해 추간판을 받치고 있는 인대 조직이 파열되면 요추 사이에 있던 추간판이 탈출하게 되면서 발생합니다. 이렇게 탈출한 추간판이 주변 신경을 자극해 다양한 증상을 유발합니다. 통증 뿐 아니라 저림 증상과 함께 엉덩이부터 허벅지, 다리, 발바닥까지 저리고 당기면서 일상생활까지 힘들어지게 되고 악화되면 기능저하와 ..

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는 연골의 지속적인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의 손상이 일어나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주로 체중의 부담이 가중되는 무릎관절, 고관절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손과 팔 등의 관절과 경추에도 쉽게 발생합니다. 퇴행성 질환이기 때문에 주로 고령과 노인층 대상으로 발병률이 높은 편이지만, 과한 사용과 잘못된 자세습관 등의 원인으로 나이에 상관없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초기 무릎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증상은 무릎 주변의 가벼운 통증이 나타납니다. 이때 치료를 시작하지 않고 방치 시 통증의 강도가 세지는 것은 물론 무릎이 굳어져 보행, 달리기 등과 같은 일상적인 동작에 제한이 발생하거나, 거동 자세의 변화와 같은 신체적 증상은 ..